이준석의 ‘언론 유착이 아니다’라는 주장에 대한 문제점
금일 JTBC의 오대영 라이브에 이준석 의원이 출연해서, 언론과의 유착에 대해서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발언을 듣는내내 이준석 의원의 윤리의식에 큰 문제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해당 영상 아래에 올리며,
https://www.youtube.com/watch?v=1Yr9OuxaZnI
다음은 해당 영상에서 나온 내용들에 대한 이준석 의원의 문제점을 정리해본 내용입니다.
1. ‘언론 유착이 아니다’라는 주장에 대한 문제점
이준석 전 대표는 인터뷰에서 “이런 걸 언론 유착이라 하지 않는다”라고 여러 차례 강조합니다. 그 근거로, 방송 제작진에게 반론 자료를 보내거나 질문을 유도하는 행위는 “아주 빈번하게 있는 일”이라며 “이건 논란이 될 상황이 아니다”라는 취지로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제기됩니다.
- ‘빈번한 일’과 ‘정당성’은 별개의 문제
이준석 전 대표가 언론사에 자료를 전달하고 반론 기회를 요청하는 것이 정치권에서 흔히 일어난다 해도, 그것이 곧 ‘정당성’이나 ‘윤리적 무결함’을 담보하지는 않습니다. 정치인과 언론이 상호 협력하는 과정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제작진에게 특정 질문을 ‘넣어달라’거나 상대방(조정훈 의원 등)의 발언을 사전에 ‘못 하게’ 해 달라고 요구하는 표현(“개소리 못하게 제작진에게 넣어줘라”)은 단순한 정보 제공이나 반론권 행사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실제 반론권 행사는 방송이 끝난 뒤 잘못된 내용이 보도되었거나 발언되었을 때 정정·반박을 요구하는 절차입니다. 하지만 이준석 전 대표가 주장한 내용은 방송 전에 특정 발언을 차단하거나 유도하려는 목적이 보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시도는 ‘편집권의 독립’을 전제로 하는 언론사 입장에서는 민감한 문제이며, 충분히 “언론 유착” 또는 “보도 개입” 의혹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내부 대화라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님
이준석 전 대표는 “내부 단톡방이니 편하게 쓴 표현”이라는 식으로 해명하지만, 정치인의 사적인 대화라도 공적 윤리 기준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오히려 내부 대화에서 드러나는 표현과 지시가 그 정치인의 실제 의도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찔러넣어”, “질문하라고 해” 같은 표현은 제작진에게 실제로 강제력이 없다는 점을 변명으로 들지만, 이준석 전 대표 스스로 “방송 제작진이 질문을 미리 물어보거나, 우리가 요청을 넣으면 그쪽에서 받아들일 수도 있다”라는 말을 덧붙입니다. 이는 결국 ‘사실상의 보도 개입’ 시도를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2. 사실과 다른 해명 혹은 축소 해석
(1) “공정한 반론 제공” vs. “방송 내용 사전 개입”
이준석 전 대표는 계속해서 “반론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단톡방에 드러난 내용은 단순 반론 제공보다 한발 더 나아간 지시를 보여줍니다.
- “개소리 못하게 제작진에게 넣어줘라”라는 문장은, 상대방의 발언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무력화하겠다는 의도를 엿보이게 합니다.
- 실제로 방송이 진행되기도 전에 제작진이 조정훈 의원에게 불리할 만한 정보를 제시해 질문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정치인의 정당한 반론권 행사와는 구분될 필요가 있습니다.
(2) “과거에도 늘 있던 일”이라는 변명
이준석 전 대표는 방송사 작가나 PD가 사전에 정치권에 연락해 “어떤 질문이 좋을까요?”라고 묻는 사례가 흔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제작진이 여러 이해관계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정치인이 제작진에게 특정 질문이나 보도 방향을 ‘사전에 주문’하는 행위를 혼동하는 듯 보입니다.
- 언론사는 반론권 차원에서 정치권에 연락할 수 있으나, 그렇다고 해서 정치인이 제작진에게 ‘이 질문을 꼭 해달라, 저 발언을 막아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정당화되지는 않습니다.
- 특히 “이준석에게 우호적인 질문”을 제작진이 사전에 받아들여 실제로 방송에서 활용했다면, 이는 분명 언론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흔드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3. 언론 유착 인식의 부족과 윤리적 책임
(1) 언론 유착의 핵심: 공정성 훼손
이준석 전 대표는 언론 유착을 “나쁜 일을 하기 위한 이해관계의 결탁” 정도로만 해석하며, “이런 건 유착이 아니다”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언론 유착이 문제되는 핵심은 **“언론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정치권력이 침해하거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언론 보도를 왜곡·조정하려는 행위”**에 있습니다.
- 정치적 이익을 위해 특정 프레임을 사전에 심어놓거나, 반대 의견을 무력화하기 위한 질문을 넣도록 요구하는 것 역시 충분히 ‘유착’ 의혹을 부를 만한 행동입니다.
(2) 단순 반론과 사전 통제는 다르다
이준석 전 대표는 “조정훈 의원이 ‘컬트 정당’이라고 말하는 데 대해 반론을 요청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반론을 요청하는 방식입니다.
- 만약 조정훈 의원이 방송에서 실제로 ‘컬트 정당’ 발언을 했고, 그 뒤 이준석 측이 “이는 사실과 다르니 정정 보도나 반론권을 달라”고 요구했다면 이는 정당한 절차입니다.
- 하지만 방송 전에 “저 발언 못 하게 해달라”, “질문을 이렇게 만들어 달라”는 식으로 프로그램 구성에 개입하려 한 정황이 있다면, 이는 단순 반론과 구별됩니다.
(3) 정치인 윤리의식 결여
이준석 전 대표가 인터뷰에서 보여주는 태도는, “원래 이런 일은 많다”는 식으로 정치인의 ‘언론 개입’ 시도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태도입니다.
- 이는 “정치권과 언론 간의 긴장 관계와 독립성”이라는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를 경시하는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는 식의 발언도 있었으나, 윤리적·도덕적 기준은 법적 판단보다 더욱 엄격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정치인은 국민의 신뢰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공적 인물이라는 점에서, 이런 식의 ‘무감각’은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4. 허은아 전 대표 주장과의 상충 지점
허은아 전 대표가 “이준석 전 대표가 언론과 결탁해 보도를 유도했다”는 취지로 카톡 내용을 공개한 배경에는, 단순히 ‘방송에 반론을 제공했다’는 차원을 넘어선 의혹이 자리합니다.
- 허은아 전 대표는 “이준석 전 대표가 언론사와 협의해 특정한 방향의 보도를 하도록 했다”고 주장하며, 해당 증거로 단톡방 캡처본을 제시했습니다.
- 이준석 전 대표는 “방송 제작진이 이 정보를 활용할지 말지는 제작진의 자유”라고 항변하지만, 내부 대화에서 이미 제작진을 ‘질문 도구’처럼 표현하는 장면이 포착된 만큼, 이것이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선다는 인식이 부족해 보입니다.
5. 종합 비판 및 제언
- 언론의 독립성에 대한 인식 부족
이준석 전 대표는 정치권과 언론의 소통이 “늘상 있는 일”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언론 보도를 사전에 조정하려는 의도”**가 있었느냐입니다. 단톡방 내용과 인터뷰 발언을 종합하면, 이준석 전 대표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윤리적 문제로 인식하지 못하는 모습이 두드러집니다. - 반론권 행사와 보도 개입의 경계 모호
반론권 행사는 언론의 공정성과 정치인의 권리를 조화롭게 보장하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방송 전부터 “질문을 이렇게 해달라”, “이 발언을 못 하게 해달라”는 요구는 반론권의 범위를 넘어섭니다. 이준석 전 대표는 이 차이를 “모두가 하는 일”로 치부하는데, 이는 명백히 언론에 대한 부당한 개입 의혹을 불러일으킵니다. - 정치인 윤리의식 재정립 필요
정치인은 공적 인물로서, 사소한 언행도 높은 윤리 기준에서 평가받아야 합니다. 내부 대화라도 ‘방송사에 질문을 찔러넣어라’, ‘개소리 못 하게 해 달라’는 식의 지시는 충분히 언론 유착 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 제기에 대해 “이건 언론 유착이 아니다”라고 일축하기보다는, 왜 이런 의혹이 생겼는지, 자신의 행동이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의 원칙에 비추어 문제가 없었는지를 성찰해야 합니다.
6. 결론
이준석 전 대표는 허은아 전 대표가 공개한 카카오톡 메시지에 대해 “이건 언론 유착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정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메시지가 시사하는 ‘사전 보도 개입’ 정황, 그리고 이준석 전 대표가 인터뷰에서 보인 태도를 종합하면, 적어도 윤리적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정치인이 언론에 반론 자료를 제공하거나 인터뷰를 통해 입장을 밝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그러나 제작진에게 특정 질문을 요구하고, 반대 발언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시도는 언론의 독립성을 훼손하는 위험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이준석 전 대표가 이를 “정치권에서는 흔한 일”로 치부하며 윤리적 고민을 보이지 않는 점은, 공적 인물로서의 책임 의식 부족을 드러냅니다. 국민은 정치인에게 단순한 법적 무결함 이상의 도덕적 기준을 요구합니다. 설령 법적으로 문제될 소지가 적다 하더라도, 언론 보도와 정치인의 이해관계가 결탁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치인 스스로 더욱 엄격한 자기 검열과 윤리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이준석 전 대표의 인터뷰 내용과 태도는, 언론 유착 논란을 ‘아무 일도 아닌 것’으로 축소 해석하는 잘못된 인식이라고 비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