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래 코드는 리액트 앱의 시작점, 즉 "리액트가 HTML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주는 기본 예제야. (리액트 버전 18이후에 사용할 수 있는 예제임)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h1>안녕 리액트!</h1>);
작동 원리 한 줄 요약
이 코드는 👉 HTML 파일의 특정 요소(id="root") 안에 리액트 요소(<h1>안녕 리액트!</h1>)를 그려주는 코드야.
한 줄씩 아주 쉽게 설명해줄게
1️⃣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 리액트에서 HTML DOM에 뭔가를 렌더링할 때 쓰는 도구가 ReactDOM이야.
- "react-dom/client"는 React 18부터 쓰는 새 방식이야.
- 구버전에서는 그냥 "react-dom"에서 render()를 직접 썼어.
2️⃣ document.getElementById("root")
- HTML에서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치면:
- <div id="root"></div>
- 이걸 자바스크립트로 불러오는 거야. 즉:
- 👉 "root라는 id를 가진 div 요소를 찾아줘!" 라는 뜻
3️⃣ ReactDOM.createRoot(...)
- 이건 React 18의 새로운 방식이야.
- 기존에는 ReactDOM.render(...)만 썼는데, 이젠 "root를 먼저 만들고 거기에 그린다(render)" 라고 나눠서 씀.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
- 이렇게 하면 "이제부터 여기(root)에 리액트를 그릴 준비 완료!" 라는 의미가 돼.
4️⃣ root.render(<h1>안녕 리액트!</h1>);
- render()는 진짜로 그리는 동작이야.
- <h1>안녕 리액트!</h1>는 리액트 엘리먼트(컴포넌트처럼 생겼지만 그냥 태그임)
- 그래서 화면에 이걸 HTML처럼 보여줘.
🔁 전체 흐름 그림으로 표현하면
HTML:
<div id="root"></div>
↓ 자바스크립트에서 이 요소 찾고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 이 안에 리액트 엘리먼트를 넣음
root.render(<h1>안녕 리액트!</h1>)
끝.
728x90
반응형
'IT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루프 IT공부] 함수 선언과 함수 표현식 차이, 사용 이유 (0) | 2025.04.18 |
---|---|
[지식루프 IT공부] 함수와 컴포넌트 차이 (1) | 2025.04.16 |
[지식루프 IT공부] 리액트 실행 안될때 해결방법 (2) | 2025.04.13 |
[지식루프 IT공부] Node.js 사용하는 이유 (1) | 2025.04.11 |
[지식루프 IT공부] CSR(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 쉽게 설명 (5)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