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공부 70

Figma 단축키

Figma 단축키 보기WindowsMac메뉴 숨기기/보기Ctrl + \Cmd + \안내선 보기/숨기기Shift + RShift + R기본 툴WindowsMac선택/이동하기VV텍스트TT원OO사각형RR프레임FF   선택/그룹WindowsMac여러 요소 선택Shift + 클릭Shift + 클릭색 선택 (아이드로퍼)II그룹/프레임 내 요소 선택Ctrl + 클릭Cmd + 클릭전체 선택Ctrl + ACmd + A그룹Ctrl + GCmd + G그룹 해제Shift + Ctrl + GShift + Cmd + G프레임으로 만들기Alt + Ctrl + GOption + Cmd + G   커서WindowsMac요소 간격 확인하기Alt + 호버Option + 호버요소 복제하기Alt + 드래그Option + 드래그중간을 기준으로..

IT공부 2025.02.13

Open-source AI model DeepSeek-R1 의 보안측면에서의 우려

지난 몇 년 동안, 많은 사람들은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OpenAI와 Anthropic과 같은 기존 기업들의 손에 확고하게 쥐어져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공개된 오픈소스 AI 모델 DeepSeek-R1의 등장은 기술 업계를 뒤흔들었으며, 미국 기술 기업들의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DeepSeek이나 다른 신제품의 인기가 높아지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소비자들은 기존 제품보다 비용 효율적인 대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존 기술의 특정 요소를 개선하거나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업이 더 나은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하면 시장을 교란시키고 빠르게 고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DeepSeek의 등장은 시장이 결코 정체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강력한 사례..

IT공부 2025.02.13

맥북 os 세콰이어 에서 react 프로젝트 생성 실패 시 해결방법

맥북 os 세콰이어에서 node js 를 설치하고 npm run start 를 실행했더니, 이런 에러 메세지가 나왔었습니다. Failed to compile. Module not found: Error: Can't resolve 'web-vitals' in '/Users/danymac/Desktop/hello_react/src' ERROR in ./src/reportWebVitals.js 5:4-24 Module not found: Error: Can't resolve 'web-vitals' in '/Users/danymac/Desktop/hello_react/src' webpack compiled with 1 error One of your dependencies, babel-preset-react-a..

IT공부 2025.02.12

[지식루프의 IT공부] 웹3(Web3)와 웹 3.0(Web 3.0)의 차이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식루프입니다. 요새 뉴스에서 웹3 또는 웹3.0 이라는 단어들이 많이 보이죠? "웹3(Web3)"와 "웹 3.0(Web 3.0)"은 종종 혼용되지만, 개념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표기법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느끼졌는지 모르겠지만, Web3 는 웹과 3을 붙여쓰고, Web 3.0은 웹과 3.0을 띄어씁니다.  이제 뜻과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웹3와 웹3.0의 차이1. 웹3(Web3) 정의탈중앙화(Decentralization)를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인터넷 패러다임입니다.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뢰(trustless) 환경을 구축하며, 중개자 없이 사용자가 데이터와 자산을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대표적인 기술 및 개념: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탈중앙화..

IT공부 2025.02.10

Authentication(인증)과 Authorization(권한부여, 인가)의 차이

Authentication(인증)과 Authorization(권한부여, 인가)의 차이**Authentication(인증)**과 **Authorization(권한부여, 인가)**는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자 접근을 관리하는 핵심 개념입니다.이 둘은 종종 혼용되지만, 각각의 역할과 기능이 다릅니다.1. Authentication(인증) – "누구인가?"🔹 정의: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과정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려 할 때,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 수행 방식:ID와 비밀번호 입력 (예: 로그인 시 사용자명과 비밀번호 입력)OTP(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코드생체 인식 (지문, 얼굴 인식, 홍채 스캔 등)소셜 로그인 (Google, Facebook 인증 등)🔹 예시:"이 사용자는 실제 등록된 계정의 사용자인..

IT공부 2025.02.06

스팸 방지 기술 정리 (Spam Prevention Technologies)

📌 스팸 방지 기술 정리 (Spam Prevention Technologies)스팸 이메일은 불필요한 광고, 피싱 공격, 악성 코드 유포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이 활용되며, 주요 기술들은 발신자 인증, 필터링, 평판 기반 차단, 암호화 등의 방식으로 작동합니다.1. 발신자 인증(Sender Authentication) 기반 기술이메일이 신뢰할 수 있는 발신자로부터 왔는지 검증하는 기술입니다.① SPF (Sender Policy Framework)기능: 발신자의 IP 주소를 도메인과 비교하여 합법적인 발신자인지 확인작동 방식: 발신 도메인 관리자가 DNS에 IP 주소를 등록하면, 수신 서버가 이를 확인하여 스푸핑(spoofing)된 이메일을 차단한..

IT공부 2025.02.06

소프트웨어 비기능 요구사항(Non-Functional Requirements, NFRs)란?

소프트웨어 비기능 요구사항(Non-Functional Requirements, NFRs)란?소프트웨어 비기능 요구사항(NFRs)은 소프트웨어의 품질, 성능, 보안, 사용성, 유지보수성 등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의미합니다. 기능 요구사항이 **“소프트웨어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What)”**에 대한 것이라면, **비기능 요구사항은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가(How)”**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비기능 요구사항은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 안정성, 확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시스템의 성능과 보안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1. 기능 요구사항 vs 비기능 요구사항 구분기능요구사항비기능요구사항정의소프트웨어가 수행해야 할 동작을 정의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방식과 품질 속성을 정의중심 개념무엇(What)..

IT공부 2025.02.06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 모델(SDLC,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비교분석

Waterfall Method (폭포수 모델)고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로,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됨 (요구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단점: 중간에 변경이 어렵고, 위험 분석 기능이 부족함❌ 프로토타입과 위험 분석 기능이 없음Spiral Model (스파이럴 모델) → 정답폭포수 모델에 프로토타이핑 기법과 위험 분석 기능을 추가한 모델여러 번 반복적인 개발을 수행하면서 점진적으로 완성도를 높이는 방식각 반복(iteration) 단계에서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필요하면 방향을 수정할 수 있음✅ 프로토타입 활용 + 위험 분석 포함 → 정답RAD Model (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신속 개발 모델)프로토타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만, 위험 분석 기능이 포..

IT공부 2025.02.06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계층화 기술을 구성하는 3대 요소

소프트웨어 공학(Software Engineering)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원칙, 방법론, 도구 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 과정 전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계층화 기술(Layered Technology)**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초가 되는 **3대 요소(Method, Tool, Process)**로 구성됩니다.1. 계층화 기술(Layered Technology)과 소프트웨어 공학소프트웨어 공학은 기존 전통적인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등장한 학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IT공부 2025.02.06

외부 스토리지 아키텍처 설정 시 주요 고려사항

외부 스토리지 아키텍처 설정이란?외부 스토리지 아키텍처 설정이란 외부 저장장치를 서버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저장, 관리, 접근하는 방식과 그 구성 요소를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 확장성, 성능, 가용성 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1. 주요 구성 요소외부 스토리지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스토리지 유형DAS (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에 직접 연결되는 스토리지 (예: SATA, SAS 디스크)NAS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공유가 가능한 스토리지 (예: NFS, SMB)SAN (Storage Area Network): 블록 단위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

IT공부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