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공부

[직일구의 리눅스공부] 리눅스 시스템의 의해

728x90
반응형

파티션이라 함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구역을 나눈 것을 말한다. 

파티션 별로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가 있다. 

우리가 익히 아는 윈도우에서는 각 파티션마다 각각의 드라이브로 지정하여 C드라이브, D드라이브 이렇게 지정할 수 있다. 

즉 그 모태가 되는 루트 드라이브가 여러개일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반해, 리눅스는 오직 1개의 루트 디렉토리만을 가진다. 

리눅스에서 파티션은 루트 파일 시스템의 특정 디렉토리에 부착된다. 저장 장치를 사용하려면 해당 저장 장치의 이름을 루트 파일 시스템의 특정 디렉토리에 마운트 시켜야 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루트 디렉토리 (/) 아래에, dev 라는 장치파일들을 관리하는 디렉토리가 있는데,

디스크하나를 장착하면, /dev/sda 라고 표기가 된다. 그런데 이 디스크를 파티션을 2개로 나누면, 

/dev/sda1, /dev/sda2 로 표기가 된다. 

 

리눅스는 표준 디렉토리를 제공한다. 이 표준디렉토리에 따라서, 개발자들이 필요한 파일들을 해당 위치에 설치한다. 

 

#루트 디렉토리 / 

루트 디렉토리는 시스템 상에서 / 라고 표기하며, 파일 시스템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디렉토리이다.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최상위 디렉토리이기도 하다

 

#바이너리 디렉토리 /bin,  /sbin

- /bin 은 복사, 파일내용 읽기 등의 기본적인 명령어들의 실행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이다. 

- /sbin 은 리부팅명령어 등,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명령어 실행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토리이다. 

 

#부트 디렉토리 /boot

- 커널이미지 (vmlinuz) 와 부트로더의 설정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이다. 

 

#디바이스 디렉토리 /dev

- 장치를 접근하는데 사용하는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한다.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토리 /etc

- 시스템의 중요한 환경 설정 파일이 위치함 

 

#사용자계정 디렉토리 /home

-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만들어지는 디렉토리이다. 

  예를 들어, park 이라는 사용자 계정을 새로 하나 만들면, /home/park 이라는 디렉토리가 생긴다.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는 해당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독립적인 공간이다.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lib

-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사용자 라이브러리 파일이 있는 곳이다. 

 

#미디어 디렉토리 /media

- 이동식 저장장치가 마운트될 때 마운트 지점을 제공하는 디렉토리이다. 

 

#시스템 정보 디렉토리 / proc

- 커널이 사용하는 가상의 파일 시스템 (cpu, 메모리, 프로세스 정보 등). 이는 실제로는 메모리에 위치한다. 

 

#루트 계정 디렉토리 /root

- 루트계정의 home 디렉토리이다. 다른 계정들은 /home 및에 디렉토리가 사용자별로 생기지만 루트 계정은 /root 로 루트디렉토리 아래 바로 위치한다.  

 

#사용자 디렉토리 /usr

- 장치를 접근하는데 사용하는 디바이스 파일들이 위치한다. 

- /usr/bin, /usr/sbin : 여러가지 실행파일

- /usr/include: 라이브러리 헤더 파일

- /usr/lib : 실행파일을 위한 사용자 라이브러리

 

#가변자료 저장 디렉토리 /var

- 시스템운영중에 임시로 생겼나가 없어지는 가변적인 자료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 

  예를 들면, 시스템 작동로그, 인쇄 스풀링, 메일 등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