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양비론(兩非論, Both-Sidesism)이란?
양비론은 어떤 논쟁이나 갈등 상황에서 양측 모두 잘못이 있다고 주장하는 논리적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종종 "둘 다 똑같이 잘못했다",
"양쪽 다 문제가 있으니 중립적인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식의 논리로 표현된다. 양비론은 특정한 사안에 대해 명확한 옳고 그름을 구별하지 않고, 모든 책임을 동등하게 분배하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1. 양비론의 유형
(1) 균형적 중립을 가장한 양비론
- 특정한 사건이나 논쟁에서 한쪽의 잘못이 명백하지만, 형식적으로 양쪽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
- 예시: 선거 부정 논란에서 **"여야 모두 문제다"**라고 주장하며 구체적인 책임 소재를 흐리는 경우
(2) 책임 회피형 양비론
- 특정한 문제에서 책임이 명확한 주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쪽 다 잘못했다"는 논리로 본질적인 책임을 흐리는 경우
- 예시: 전쟁에서 침략국과 방어국이 있을 때 **"전쟁은 결국 양쪽 모두의 책임"**이라고 말하는 경우
(3) 정치적 계산이 담긴 양비론
- 정치인이 지지층을 잃지 않기 위해 명확한 입장을 피하고, "양쪽 모두 잘못이 있다"며 애매한 태도를 유지하는 경우
- 예시: 특정 사회적 이슈(젠더 갈등, 노동자 문제 등)에 대해 "남녀 모두 책임이 있다", **"노사 양측이 똑같이 문제"**라고 말하는 경우
2. 양비론의 문제점
(1) 옳고 그름의 판단을 흐리게 만든다
- 현실적으로 모든 갈등에서 양측이 동등한 잘못을 저지른 경우는 드물다.
- 그러나 양비론은 실제 잘못의 크기와 관계없이 모든 책임을 균등하게 배분하려 하기 때문에, 올바른 해결책을 찾기 어렵게 만든다.
- 예시: **"친일파도 나쁘지만 독립운동가도 문제가 있었다"**라는 논리는 역사의 객관적 평가를 흐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2) 가해자와 피해자를 동일한 위치에 놓는다
- 분명한 피해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동등한 잘못을 저지른 것처럼 묘사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
- 예시: **"학교 폭력은 가해자도 잘못이지만, 피해자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폭력의 본질을 왜곡한다.
(3) 책임을 분산시켜 가해자의 책임을 경감시킨다
- 특히 정치적·사회적 문제에서 양비론이 사용되면 실질적으로 더 큰 책임을 져야 할 쪽이 면죄부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 예시: **"기득권도 문제지만, 시위대도 폭력적이었다"**라는 식의 논리는 권력의 책임을 흐리게 만든다.
(4) 중립적인 태도를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기득권을 보호하는 효과를 낳는다
- 표면적으로는 중립을 유지하는 듯하지만, 결과적으로 강자가 유리한 구조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 예시: **"재벌도 문제지만, 노동자들도 강성 노조가 문제"**라고 주장하며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 요구를 희석시키는 경우.
3. 양비론이 필요한 경우와 적절한 활용법
(1) 극단적 대립을 완화하는 목적
- 갈등이 심각하게 격화된 경우, 중재를 위해 양측의 책임을 강조하는 양비론적 접근이 필요할 수도 있다.
- 예시: 노사 갈등에서 협상을 유도하기 위해 양측의 문제점을 모두 인정하면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경우.
(2) 특정한 사안에서 실질적으로 양측의 잘못이 비슷한 경우
- 어떤 갈등에서 실제로 양측이 대등한 책임을 지고 있는 경우라면, 양비론적 접근이 정당할 수 있다.
- 예시: 축구 경기에서 양팀이 똑같이 반칙을 저질렀다면, 심판이 "양 팀 모두 반칙이 심했다"라고 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3) 맥락을 고려한 균형적 비판
- 양비론이 아닌 균형 잡힌 비판을 하려면, 양측의 책임 비율을 명확히 구분하고, 사실에 근거한 비판을 해야 한다.
- 예시: **"이 사안에서 A는 80%의 책임이 있고, B도 20%의 책임이 있다"**라는 식으로 논리를 전개하는 것.
4. 결론: 양비론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양비론은 때로는 유용할 수 있지만, 잘못 사용될 경우 사회적 정의와 객관적 판단을 흐리는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권력 관계가 명확한 사안에서는 **"양쪽 모두 문제"**라는 논리가 더 큰 책임을 져야 할 측에게 면죄부를 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결국 양비론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본질적으로 "비겁한 중립"을 가장하면서도, 결과적으로 특정한 세력에게 유리한 논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상식, 인문학, 교양,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애드센스 지표분석] 페이지뷰(Pageview)와 페이지 RPM(Page RPM)의 차이 (0) | 2025.02.01 |
---|---|
레드 테크 뜻, 설명 (0) | 2025.01.31 |
파시즘(Fascism) 뜻, 설명 (2) | 2025.01.27 |
전체주의(Totalitarianism) 뜻, 설명 (0) | 2025.01.27 |
이용자 NSF 점수(Non Sufficient Funds Score) 뜻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