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직일구의 회계공부] 유형자산 - 당좌자산과 재고자산

728x90
반응형

자산의 종류에는 유형자산과 비유동자산이 있다. 

 

대분류 중분류 내용 종류
유동자산 당좌자산 즉각적인 현금화가 쉬운 자산 현금, 당좌예금, 보통예금, 미수금, 선급금, 단기매매증권, 단기대여금,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미수수익, 선급비용
재고자산 판매과정을 통하여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상품, 제품, 원재료, 재공품, 소모품 등
비유동자산 투자자산 다른 기업을 지배하거나 통제할 목적 또는 장기간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취득한 자산 만기보유증권, 매도가능증권, 장기금융상품, 장기 대여금 등
유형자산 장기간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해 취득하는 자산 토지, 건물, 비품, 차량운반구, 건설중인자산, 구축물, 기계장치, 선박 등
무형자산 물리적 형태는 없지만 법률적 권리 또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산 산업재산권, 영업권, 소프트웨어, 개발지, 광업권, 어업권 등
기타비유동자산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에 속하지 않는 비유동자산 임차보증금, 장기매출채권, 장기미수금 등

 

유형자산과 비유동자산을 구분하는 기간은 1년이다.

- 1년 내 현금화가 가능하면 유동자산, 

- 1년 내 현금화 불가하면 비유동자산 이다. 

 

유동자산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당좌자산과 재고자산

당좌자산은 즉각적인 현금화가 가능한 것을 말한다. 

재고자산은 판매를 통해 현금화가 가능한 것을 말한다. 

 

당좌자산의 예시는

- 현금, 당좌예금, 보통예금, 미수금, 선급금, 단기매매증권, 단기대여금, 매출채권(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미수수익, 선급비용

등이 있다. 

 

다른 용어들은 짐작이 가면서도 대충 와닿지만, 이 중에서 선뜻 와닿지 않는 용어들이 있다. 바로 미수금, 미수수익 등이다.

미수금은 매출채권과 대비가 되는 용어이다.

#미수금

기업은 영업을 하는 것을 본연의 업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 영업활동을 통해서 얻은 채권은 매출채권이라고 한다. 

- 그에 반면, 비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채권은 미수금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부동산회사가 아니라 제조업회사이다. 즉, 휴대폰, 노트북, 가전 등을 통해 발생한 돈 받을 권리는 매출채권이라고 한다. 

그러나, 건물이나 토지를 팔아서 얻은 돈 받을 권리는 매출채권이 아닌 미수금 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알아두었으면 좋겠다. 

 

#미수수익

미수수익은 올해 발생하였으나 아직 받지 못한 돈을 말한다. 수익과 일치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계정이다. 무슨 말이냐고? 

예를 들어, 1년짜리 정기예금 1000만원을 넣었다고 하자. 이자율은 5%라고 하자. 

기예금을 넣은 날짜는 2022년 7월 1일이라고 하자. 그럼 그 예금의 만기일은 2023년 6월 30일이다.

 

1000만원의 5% 이자는 50만원이다. 그럼 올해 7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는 이자가 사실은 25만원 발생하여 이자수익 25만원이 발생하였으나, 아직 받지 못한 돈이다. 

수익은 대변계정이다. 전표작성 시에는 항상 차/대 구분을 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면 

(차)              /(대) 이자수익 25만원

으로 차변이 공란으로 남게 된다. 회계에서 항상 차변과 대변의 합은 같아야 한다고 배웠을 것이다. 그런데 차변이 빈다. 

그래서 미수수익이라는 계정을 만든 것이다. 

(차)미수수익 25만원  /(대) 이자수익 25만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