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자성어: 各注求劍 (각주구검)
✔ 뜻:
→ **"칼을 물속에 빠뜨리고 배에 표시를 해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한다"**는 의미로, 상황이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융통성 없이 기존 방식만 고수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
✔ 한자 풀이:
- 各(각): 각각
- 注(주): 배에 표시하다
- 求(구): 찾다
- 劍(검): 칼
1. 각주구검의 유래 (출전: 《呂氏春秋(여씨춘추)》)
춘추전국시대(戰國時代)의 한 이야기에서 유래함.
어느 사람이 배를 타고 가다가 실수로 칼을 강에 빠뜨렸습니다.
그러자 그는 칼이 빠진 지점을 잊지 않기 위해 배의 난간에 표시(각, 注)를 해두었습니다.
하지만 배는 계속 흘러가고 있었고, 나중에 그 사람이 물속에서 칼을 찾으려고 했을 때, 이미 칼이 빠진 위치는 바뀌어 있었기 때문에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과거의 방식만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2. 각주구검의 의미와 교훈
💡 융통성과 유연한 사고의 중요성
-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과거의 기준이나 방법만을 고집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
- 변화하는 상황을 고려하고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 기술, 사회,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 대표적인 예시:
- 시대가 변했는데도 구시대적 사고방식을 고수하는 경우
- 시장의 트렌드가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방식만을 고집하는 기업
-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음에도 과거 방식만을 고집하는 사람
3. 각주구검 사용 예시 (문장)
✅ 일상 대화에서 사용 예시
- "옛날 방식만 고집하면 각주구검이야. 새로운 트렌드에 적응해야지."
- "IT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데, 종이 문서만 고집하는 건 각주구검이죠."
- "마케팅 전략도 시대에 맞게 바뀌어야 하는데, 10년 전 방식을 그대로 쓰는 건 각주구검이지."
✅ 기사나 문서에서 사용 예시
-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과거의 성공 방식만을 고집하는 것은 각주구검에 불과하다."
- "기업 경영에서도 각주구검을 경계해야 하며, 시장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상식, 인문학, 교양,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루프의 상식공부] 2025년 정월대보름은 언제? 정월대보름 총정리 (0) | 2025.02.09 |
---|---|
[지식루프의 상식공부] 스크럼(scrum)을 짜다 뜻, 설명 (0) | 2025.02.09 |
[건강/미용] 눈밑 처짐, 다크서클 개선하거나 보완하는 방법 (1) | 2025.02.05 |
[법률용어] 피의자, 원고, 피청구인, 청구인 뜻 설명 (0) | 2025.02.05 |
획책(劃策) 뜻, 설명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