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지식루프 경제공부] 그린케미칼 기업분석 및 주가전망

지식루프 2025. 4. 28. 10:18
728x90
반응형

 

1. 기업 개요

  • 회사명: 그린케미칼
  • 주요사업:
    • 기초화학제품(Ethylene Oxide Derivatives) 제조 및 판매
    • EOA(계면활성제 원료), ETA(에탄올아민), DMC(디메틸카보네이트) 생산
  • 신규사업:
    • 이차전지 전해액 소재용 EC, DMC 개발 시도
    • 온실가스 포집(CCUS) 아민계 흡수제 생산 및 판매

2. 최근 3개년 주요 재무정보 요약

 

재무 요약 분석

  • 2023년 일시적 매출/이익 둔화 이후 2024년 실적 회복세 진입.
  • FCF 개선, ROE 급상승 등 수익성과 재무건전성 모두 긍정적 변화.
  • PER/PBR 모두 하락하여 밸류에이션 매력 증가.

3. 신규사업 추진 현황

(1) 이차전지 전해액 소재 (EC, DMC)

  • 현 상황:
    • EC, DMC는 생산 중이나, 고순도 이차전지용 제품은 아직 생산 불가.
  • 향후 계획:
    • 현재까지 신규 설비 투자 계획 없음.
    • 2025년~2026년까지 고순도 제품 생산 능력 확보는 어려움 예상.
  • 시장 상황:
    • 글로벌 전해액 시장 연평균 24.8% 성장 예상.
    • 중국, 일본 주요 업체와의 경쟁 심화.

→ 평가: 단기 사업기여는 기대 어려우며, 중장기 과제로 분류해야 함.


(2) 온실가스 포집소재 (CCUS)

  • 현 상황:
    • 아민계 액상 흡수제 자체 기술 개발 완료.
    • 일부 고객사 및 정부기관 대상 판매 개시.
  • 기술 경쟁력:
    • 독자적 제조 공정 특허 등록 완료.
    • 다양한 포집 방식 대응 제품 보유(연소 전/후, 순산소 연소).
  • 시장 전망:
    • CCUS 시장 2030년까지 연평균 31.2% 성장 예상.
    • 정부 탄소중립 정책 수혜 가능성.

→ 평가: 매출 발생이 시작된 성장 초기단계 사업으로, 주가에 긍정적 기여 예상.


4. 투자 포인트

1) 실적 회복 본격화

  • 2023년 일시적 부진 이후, 2024년 매출 및 이익 전반적 회복.
  • 2024년 순이익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 전망.
  • 자유현금흐름(FCF) 흑자 전환, 재무구조 안정화.

2) 온실가스 포집소재(CCUS) 매출화 성공

  • 아민계 흡수제 자체 기술개발 완료 및 일부 매출 발생 시작.
  • 특허 등록 완료, 다양한 포집기술(연소 전/후, 순산소 연소) 대응 가능.
  • 정부 탄소중립 정책 수혜 기대.

3) 저평가 매력

  • 2024년 기준 PER 약 20배, PBR 약 1.3배 수준.
  • 역사적 평균 대비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
  • 안정적 배당(3%대 수익률) 지속.

4) 성장 옵션 보유

  • CCUS 시장의 고성장 전망(2030년까지 연평균 31.2% 성장).
  • 이차전지 전해액 소재(EC, DMC) 분야 중장기 진출 준비 중. (단기 성과는 기대 어려우나, 중장기 모멘텀 확보 가능성 존재)

5) 리스크 관리 필요

  • 이차전지 소재 사업 단기 실적 기여는 제한적.
  • CCUS 사업 초기단계로 정부 정책 변화에 민감.
  • 주요 리스크 모니터링: 온실가스 포집소재 매출 성장 여부.


5. 주가 분석 및 2025년 목표주가

차트 흐름 요약

  • 일봉: 4월 초 급등 이후 조정, 7,800원 부근 지지선 형성.
  • 주봉: 대세 상승 추세 초입, 단기 과열 해소 구간.
  • 월봉: 장기 하락 추세 마무리, 반등 초기 국면 진입.

2025년 상반기 목표주가 제시

  • 목표주가 구간: 8,500원 ~ 10,500원
  • 상승 조건: 온실가스 포집 매출 증가 확인 시 상단 목표 도달 가능.
  • 하락 리스크: CCUS 매출 부진 시 7,000원대 재조정 가능성.

최종 종합 의견

그린케미칼은 2023년 실적 저점을 지나 2024년부터 본격적인 회복 흐름에 진입.
기존 화학소재 사업 안정성에 더해, 온실가스 포집소재 분야의 신성장 가능성.
주가는 밸류에이션상 저평가 구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장기 투자자 관점에서는 '매수 후 보유' 전략이 유효.
단, 온실가스 포집소재 매출 본격화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리스크 관리 필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