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자기계발 14

일 잘하는 법, 목표를 달성하는 법

일은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까? 일을 잘한다는 것의 기준은 뭐라고 할 수 있을까? 다른 것은 다 차치하고서라도, 가장 중요한 것 기본 중의 기본은 바로 밀리지 않는 것이다. 데드라인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물론, 일이 너무 많이 몰려서 데드라인을 지키지 못하는 일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솔직히 한 번 생각해보자. 우리가 알면서도 흘려보내는 시간들이 얼마나 많은지 말이다. 이 블로그에서는 일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일이란, 단순한 회사 일 뿐 아니라, 우리가 인생에 있어서 꼭 달성해야하는 것들, 즉 우리의 인생의 목표를 위해 해야하는 일들도 말한다. 결국 회사일을 잘해야, 내 개인적인 시간의 여유도 생겨서, 추가로 내가 하고 싶은 것도 할 수 있고, 또 개인의 일이 잘되야, 회사일도 집..

[독서평] 그릿(Grit)

그릿(Grit) - 열정적 끈기의 힘 저자인 안젤라 더크워스 (Angela Duckworth) 의 이력이 특이하다. 일단 하버드대학교를 1992년에 졸업한 후, 그리고 나선 옥스퍼드대에서 석사를 했다. 그리고 나서 최고의 컨설팅회사인 맥킨지에 입사하여 2년간 일하고, 갑자기 고등학교 수학교사와 과학교사가 되었다. 그리고 나선 2002년에 펜실베니아대에 입학해서 나중에 박사를 땄다. 그리고 나선 교수의 길을 걷고 있다. 이력이 특이하다고 말한 이유는 바로 맥킨지에 있다가 갑자기 고등학교 교사가 된 부분을 얘기한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면 이해가 된다. 뭔가를 연구하고 가르치는 것이 이 저자의 관심분야여서, 결국 본인의 목적에 따라 진로를 결정하고 살아온 인생이력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책에서 성공한 사람..

직장이란 무엇일까?

누구나 한번쯤은 직장인이 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회사에 입사해서 월급을 받는 월급쟁이들도 직장인지만, 내가 회사를 차리던, 가게를 차리던, 프리랜서로 일하던 뭐가 되는지 간에, 나만의 직업을 가지고 일을 한다면, 저는 그러한 분들 또한 직장인이라 칭하고 싶다. 그럼 직장은 우리 인생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어떤 이는 직장을 돈벌이의 수단으로 삼는다. 이게 나쁘다는 건 아니다. 본인의 삶의 목적이 따로 있는데, 이를 이루려는데 돈이 필요하니, 그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직장을 이용하는 것 뿐이니까. 그럼 또 어떤 이들이 있나? 어떤 이들은 직장에 목숨을 건다. 가족과 건강 모든 것을 희생할만큼. 개인적인 가치관에 따라 서로 다르겠으나, 나는 그 무엇도 가족과 건강을 대신할 ..

00. 직장인이 된 걸 환영한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이제 막 직장인이 된 여러분들을 환영한다. 이 글을 작성하는 이유는, 15년남짓한 직장생활동안, 아무도 제대로 알려주는 사람없이, 힘들게 직장생활을 해오며 지내온 나를 돌아보자니, 이제 막 직장생활을 시작해서, 동일한 일들을 겪으며, 동일한 시행착오를 겪을, 여러분들을 위해 조금이나마, 직장 선배로서, 도움을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이 글을 보는 기존의 직장인들은 볼테면 보라지만, 나의 타겟은 이제 막 직장생활을 시작한 신입직원 1~3년차까지임을 밝혀둔다. 앞으로의 글들에 대해서, 여러 각종 스킬들, 처세 등을 공유할테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런 것들보다 여러분의 마음가짐이다. 나는 여러분들에게 직장인이라고 부르지만, 직장인이 되지 말고, 직업인이 되야만 한다고 강..